작곡가 썸네일형 리스트형 음악형식론 기초 phrase 1편 (모티브와 프레이즈) ZICO의 "아무노래"에서 “왜들그리다운되있어?”는 구조상 어떤부분일까요? 곡을 쓰기 위해 처음 공부를 해야 할 것은? 많은 학생들이 음악을 처음배울 때 화성학을 먼저 시작합니다. 화음을 다루고 구축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을 먼저 배운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런데 학생들 대부분 작곡을 하라고 하면 감을 잡지 못합니다. 그 이유는 모티브를 어떻게 끌고나가는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독학을 하는 학생들은 이럴 때 유튜브 강의를 찾게 됩니다. 그리고 이것저것 보다 보면 비트를 찍는 것, 샘플로 작업하는 방식등 초반에 접근하기 쉬운 방법으로 공부를 시작합니다. 그러나 그 한계가 금방 드러나게 됩니다. 유튜브에 강의들이 제법 올라와 있지만 파편적으로 널려있으며 대부분 처음에 시작하는 기초부터 강의를 올리지 않습니다. .. 더보기 화성학 교재 추천?(클래식) 화성학을 교재를 소개하기 앞서 화성학을 간략하게 소개하겠습니다. 화성학을 공부하기로 마음먹었을 때 어떤책으로 시작하면 좋을까요? 앞서 이야기 한 배음, 음정, 음계, 진행 등 이론들은 화성학이라기 보단 음악의 기초이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화성학은 철저히 19세기음악에 맞춰진 화음이론으로 수직적인 화음구조 외에도 수평적인 성부 진행을 동시에 공부하는 학문입니다. 수평적 성부진행은 대위법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다 안정적인 화음구성을 구성하며 4성부체계를 다루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간혹 독학하시는 분들이 코드이론을 화성학으로 이야기 하시는 경우가 있는데요. 둘 다 화음을 다룬다는 것과 예비와 해결, 전조 등 화음의 활용법에선 동일하나 4성체계의 진행, 코랄과의 연계, 반음계적 전조 등 디테일한.. 더보기 악기론class 현악기 편성 현악기로 구성된 대표적인 편성 현악4중주(String Quartet) 가장 대표적인 현악편성입니다. 두 대의 바이올린과 비올라, 첼로가 주축이 됩니다. 클래식 편성에서 가장 완벽한 편성으로도 일컬어집니다. 1바이올린이 악장을 맡으며 곡의 흐름을 주도해갑니다. 서양음악의 (조성음악) 대부분의 곡은 현악4중주로 편곡하거나 재현할 수 있습니다. 1바이올린과 2바이올린이 주축선율을 주도해 나가고 비올라와 첼로는 중저음에서 활약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상황에 따라 3개 악기가 배경을 만들고 1개악기가 멜로디를 연주하기도 하며, 때에 따라 2개의 선율구도, 4개의 선율구도 등 다양한 진행이 가능합니다. 현악4중주는 자료가 많으므로 학습하기도 좋습니다.^^ 현악3중주(String trio) 4중주에서 악기 바이올린이 .. 더보기 음대 작곡과는? 무엇을 공부할까? 클래식 작곡 커리큘럼과 장단점 학교를 졸업하고 현장에 나오니 아티스트들이 쓰는 용어가 너무 달라 혼동이 왔습니다. 대중음악에선 쓰는 용어가 달랐고 작업방식도 너무 달라 내가 배운 것은 도대체 무엇인지 회의감도 들었습니다. 그러다 문득 나는 작곡과에서 무엇을 배웠고 내가 가진 것이 무엇인가를 진지하게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그러다가 의외로 좋은점도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음대 작곡과 가야할까요? 제가 겪었던 경험을 토대로 장점과 단점을 이야기 하겠습니다. 장점 1. 작곡과에 가면 여러 가지 기술을 배운다. 대위법과 푸가 훈련, 악식론훈련, 오케스트레이션이 대표적이다. 학교에 따라 전자음악영역까지 배운다. 이 기술들을 제대로 학습했다면 영화음악, 예술음악을 구현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쓸 수 있다. 2. 기본기를 탄탄하게 구축할 수 .. 더보기 악기론 class 비올라(Viola) 비올라를 제대로 이해한다면 스트링의 절반은 이해한 것이나 다름 없습니다. 다소 생소한 악기이긴 하나 때로는 바이올린의 역할을 감당하기도 하고 때로는 첼로의 중저음 같은 소리를 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비올라는 현악 앙상블에서 그 위치를 정의내리기 어렵습니다. 밝고 화려한 바이올린과 따뜻한 이미지를 가진 첼로에 비해 비올라는 특유의 어둡고 차분한 음색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음색이 현악기 군과 어울릴 때 대단한 활약을 펼칩니다. 첼로에 이어 비올라에 대한 이야기를 이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악기의 중재자! 밸런스역할을 담당하는 비올라 가수 중에 솔로가수로는 크게 빛을 보지 못했지만 듀오나 피처링에서 크게 성공을 거둔 가수들이 있습니다. 가수 소유씨가 그런 것 같습니다. 화려하진 않지만 받쳐주.. 더보기 악기론 class 현악기 소개 이 강좌는 스트링편곡을 위한 첫 번째 포스팅입니다. 스트링을 잘 활용하고 싶은 분들에겐 매우 유용한 글이 될 것입니다. 가끔 스트링편곡에 대한 질문을 받을 때가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선율을 드라마틱하게 뽑는 건 잘하는데 악기간의 조합이나 구조에서 부족한 경우들을 자주 보게 됩니다. 스트링 편곡을 할 때 가장 중요한 점은 악기를 이해하고 악기간의 조합과 구조를 봐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조합은 현악4중주 편성이며 바이올린1 바이올린2 비올라 첼로으로 구성됩니다. (vn1, vn2, va, vc) 오케스트라 편성은 여기에 더블베이스(=콘트라베이스)를 추가합니다. 현악4중주는 모든 클래식음악의 편성에서 가장 완벽하다고 하는 편성입니다. 4개의 악기로 꽉찬 소리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많은 작곡.. 더보기 작곡가라면 반드시 익혀야 할 기본기! 내게 와서 뭐라한다. 작곡은 쉽다고 화성학 배울 필요 없다고 컴퓨터와 장비만 가지고 곡쓴다고 한다. 유튜브에 따라하기 나와있다고 그리고 유튜브에 쉽게 쓰는 방법 있다고.. - 어느 작곡지망생의 반문- 모든 분야에서 기본기는 중요합니다. 실력은 기본에서 나온다는 이야기는 저의 모든 스승이 하신 말씀이며 저도 여기에 동의합니다. 예를 들어 피아니스트들의 테크닉은 Hanon에서 나옵니다. 수많은 작품을 연구하고 연주하고 연습하는 것도 실력을 늘리는 방법이나 그 아래에 기초공사가 없다면 원하는 음악을 표현할 수 없습니다. 기초를 다지지 않고 집을 짓기 시작하면 집이 제대로 지어질 수 없는 것과 같습니다. 최근 유튜브나 사운드클라우드에서 자기 작품을 올리는 사람들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습니다. 제 개인적으론 기본기.. 더보기 일반인은 모르는 절대음감 만드는 법 음악대학에 가면 절대음감을 가진 친구들이 꽤 많습니다. 선천적인 능력으로 절대음을 가진 친구는 거의 못봤고 대부분 어릴 때부터 악기를 오래했던 친구들, 후천적인 노력으로 절대음감을 만든 친구들이 많습니다. 작곡에 절대음감이 중요한 이유는 후기낭만 이후 작품에서 유리하기 때문인데. 대부분 현대음악(현대예술)장르를 공부하는 대학의 커리큘럼 상 절대음감이 활약할 여지가 많습니다. * 절대음감을 가지고 있는지 궁금하면 아래 악보를 다른 사람이 연주해주고 계이름을 맞춰보세요. 모든 음이 뚜렷하게 계이름으로 들린다면 절대음감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선율을 뽑아내고 선율을 조성마다 잘 적용하는 능력은 상대음감이 훨씬 좋습니다. 상대음감이 가진 가장 큰 장점이 여기에 있습니다. 그래서 성악과 학생들은 99%가 상대..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