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이론

음악기초이론 악보보는법 – 음표보는법, 음표와 쉼표 음악을 처음 공부할 때 악보를 보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무엇인가요? 처음 악보를 볼 때 가장 어렵다고 생각하는 것은 ‘콩나물’ 같은 것입니다. ^^ 콩나물의 종류가 많기 때문에 혼동이 오고 악보가 두려울 수 있습니다. 이 콩나물들은 악보의 중심이 되는 기호 '음표'입니다. 음표는 종류가 다양해서 햇깔리기 쉽지만 체계를 잘 배워두면 이만큼 합리적인 체계가 없음을 알게 되실 겁니다. 이 포스팅을 다 읽으 실 때쯤 음표와 쉼표에 대해 완벽한 이해를 하게 될 것입니다. 음표? 음표(Note)는 연주를 하라고 지시하는 기호입니다. 반대로 쉼표는 연주를 하지 말라고 지시하는 기호입니다. 이렇게 이야기 하면 햇깔릴 수 있겠지요? 음표에 들어있는 정보는 딱 두가지입니다. 1. 어느정도의 시간만큼 연주할까? .. 더보기
서양음악사 – 다성음악의 시작 : 오르가눔 (13세기) 다성음악은 고대 음악에서도 있었습니다. 다만 다성음악으로 인식하지 못했을 뿐입니다. 그레고리오 성가이후 교회의 음악이 하나의 선율로 재편하면서 단성음악만 연주하는 것 같았습니다. 그런데 사실, 남녀가 같이 부른다면 정확하게 옥타브 간격으로 부르는 노래가 됩니다. 다성음악이 시작된 것은 하나의 선율에 기교를 넣기 시작하면서 생겨났습니다. 같은 선율로 부르다가 중간에 가수가 다른 선율을 얹어서 선율을 기교적으로 꾸미기 시작합니다. 그렇게 된 선율의 움직임은 독자적 파트로 발전하기 시작하며 독립적인 성부를 구축합니다. 다른 음을 노래하다. - 오르가눔 가장 오래된 기록에 의하면 다른 음을 연주하기 시작한 것은 800년대입니다. 이시기에 원래 선율과 다른 음을 부르는 것을 두고 ‘오르가눔’이라 불렀습니다. 지금.. 더보기
음악 진행을 새롭게 하는 기법 – 조바꿈 (Modulation) 2편 음악이 진부하다면 조바꿈을 해야겠지요? 조바꿈(전조)방법 1. 온음계적 전조 화성학책에 가장 첫 번째로 나오는 전조입니다. 온음계적 전조는 가장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전조를 뜻합니다만, 이것은 음악 구조상 자연스러운 것이지 귀로 들을 때 자연스러운 것은 아닙니다. 조성이 확 바뀐다는 느낌이 없고 은근슬쩍 바뀌는 전조입니다. 이런 특성을 곡에서 응용한다면 형식구조가 바뀌는 부분에서 응용하기 보단 프레이즈 단위나 주제 단위의 전조에서 살짝 넘어갈 때 쓰면 좋습니다. 공통화음 원래조와 바뀌는 조가 똑같이 가지고 있는 공통화음으로 넘어가는 방식입니다. 공통화음은 두 조간의 교집합 역할을 합니다. 전체적으로 3, 7화음, 재즈에서는 텐션코드에서도 넘어가는 경우가 있긴 합니다만 대체로 감3화음(디미니쉬)같이 불안정.. 더보기
음악 진행을 새롭게 하는 기법 – 조바꿈 (Modulation) 1편 좋은 곡을 쓰는 작곡가란? 작곡가들은 청중이 쉽게 들을 수 있는 음악과 청중이 지루할 틈이 없게 하는 음악 사이에서 갈등합니다. Q1 청중의 공감을 사려면? A1 예측이 쉬워야 한다. 미술이나 조각, 문학은 이해가 될 때까지 공간이 기다려줍니다. 문학은 다시 페이지를 건너뛰어 부분을 들으면 됩니다. 그런데 음악은 어떨까요? 지금이 레코딩이 어려운 19세기 중반이라 가정해본다면 작곡가들은 어떤 고민을 했을까요? 청중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각인’을 시켜야 합니다. 그래서 초기의 고전 소나타 형식의 곡은 도돌이표를 써가면서 제시부를 2번에 걸쳐 반복하여 들려줍니다. 이런 반복패턴으로 2번째 첫 주제가 다시 나오면 청중은 서서히 주제선율이 무엇인지 인식하게 됩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B’파트가 전개됩니다.. 더보기
모든 음악이론의 기본 '배음'(Overtone, Harmonics) 아~ 여긴 공대? 나는 누구? 갑자기 튀어나오는 비례식 우리가 무슨 피타고라스인가? 근데 이걸 왜 알아야하지? - 수업 중 harmonics 계산할 때- 화성학 이론에서 늘 접하게 되는 중요한 개념을 먼저 설명합니다. 실전 작곡에서 아주 중요한 기초가 됩니다. 우리가 듣는 소리는 곧 공기를 통해(정확히는 대기) 전달되는 진동입니다. 진동은 일정한 파형을 지니고 있습니다. 우주에서 소리를 들을 수 없다라는 가설은 신빙성이 있습니다. 진동을 전달해주는 대기가 없기 때문에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근거가 없어집니다. (그러나 저는 우주에 나가본 적이 없는 관계로......) 물속에서는 어떨까요? 애석하게도 우리의 신체는 물속에서는 소리를 들을 수 없습니다. 귀는 대기중에 소리를 듣도록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