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소리를 두껍게 하고 싶을 때 – 더블링 "오케스트라의 바이올린 합주 소리와 바이올린 독주의 음색은 왜 다를까요?" 음색이 얇은 느낌이 들 때 조금 더 풍성하게 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더블링 기술을 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 바이올린이나 첼로를 녹음하여 오케스트라 같은 효과를 주고 싶을 때가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녹음 하고 더블링을 하려 하면 생각보다 그 효과가 좋지는 않을 것입니다. 트랙을 복사해서 다른 트랙으로 카피하면 어떻게 될까요? 음색은 전혀 풍성해지지 않고 음량만 커집니다. 이렇게 되는 이유는 원본소스와 완전히 일치하기 때문에 우리 귀에 음색이 변화되는 것을 느낄 수 없습니다. 트랙의 시간을 확대해보면 파형을 자세하게 볼 수 있습니다. 이 파형이 완벽하게 일치하면 아무리 트랙을 늘려도 음색이 변하진 않습니다. 시간차를 미세하게 주면 딜.. 더보기 음악미학 - 음악의 시작 ‘모방’ 표절이나 저작권 침해는 예술분야에서 가장 민감한 사항입니다. 그런데 예술의 본질은 ‘따라하기’에서 출발합니다. "우리는 따라하기를 예술이라 할 수 있을까요?" 인간이 예술을 하게 되는 계기는 무엇일까요?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을 살펴보면 그 근원을 찾을 수 있습니다. ‘르네상스’라는 말은 ‘재생’이라는 의미를 답고 있습니다. 그 재생의 기원은 고대 그리스 철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예술은 이 세상에 없는 것을 표현하지 않습니다. 예술의 소재는 항상 인간이 인식하는 범위에 있기 마련입니다. 사물, 인간, 이야기(서사), 자연 등 모든 예술가는 자기가 표현하고자 하는 범위에서 작업을 합니다. 인식을 어떻게 표현할까요? 인식을 토대로 새로운 것을 창조해 낼까요? 예술가가 자기의 시선과 관점을 담는 것은 분.. 더보기 서양음악사 3. 그리스 선법과 기보법 – 중세 교회음악 (2) 재즈와 대중음악에서 조성을 벗어난 음계를 쓰고 있습니다. 기타리스트들이 장단조 외에 필수로 돌리는 scale... 재즈피아니스트가 솔로를 연주할 때 쓰는 것은 무엇일까요? 답은 서양음악사에 있습니다. 교회음악의 뿌리는? 교회음악을 설명하려면 먼저 고대역사를 알아야 합니다.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문명권에서 여러 가지 크고 작은 나라가 일어나며 고대의 역사가 진행됩니다. 고대에서 세계 최강의 힘을 가진 나라는 ‘이집트’였습니다. 그러다 앗시리아, 바벨론, 페르시아, 마케도니아, 로마까지 순차적으로 거대한 제국이 건설되며 여러 문화가 섞이고, 교류가 활발해집니다. 유럽의 문명이 발전되기 시작한 것은 제국의 역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어느 지역이 타지역과 교류를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인류학자들은 그.. 더보기 pop에서 배우는 반복 코드패턴 – pop음악 3곡 분석 pop음악은 반복패턴을 잘 사용합니다. 간결한 코드진행을 잘 응용한 팝송 3곡을 소개합니다. 3곡 다 대중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인지도가 높습니다. 1. Treasure (Bruno Mars) 80년대 pop을 2010년대의 노래로 구현한 Bruno Mars. 유창한 선율과 funk스타일의 기타로 옛 팝의 느낌을 잘 살렸습니다. 이곡의 멜로디는 전형적인 verse – prechorus – chorus를 지키고 있으며 form마다 주제선율의 반복이 잘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멜로디 진행이 유창한 것에 비해 코드 진행은 4마디가 처음 부터 끝까지 반복됩니다. 짧은 인트로를 연주하는 Bb9sus4의 임펙트(이것도 chorus 전에 똑같이 활용합니다.) 그 다음부터 Abmaj7 – Gm7 – Fm7.. 더보기 실전에서 바로 쓸 수 있는 코드 진행 패턴(화음진행) 3가지 작곡을 할 때 화음 진행이 고민된다면? 코드 3~4개 이내로 반복되는 패턴으로 곡을 구성하면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2-5-1 (two-five-one) 진행을 기본으로 하는 패턴 몇 가지를 알려드립니다. 반복패턴? 음악에서 반복은 옛날부터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였습니다. 음악의 속성은 ‘시간’입니다. 시간은 붙잡아둘 수 없는 고유의 속성이므로 반복을 통해 선율을 각인시키고 형식감을 주어 예술의 형태로 인식하도록 합니다. 이렇게 반복되는 것은 여러 가지 음악에서 그 예시를 찾을 수 있습니다. 바로크 시대의 음악은 반복이 목적이라해도 과언이 아닐정도로 수많은 음악에서 반복 패턴을 보여줍니다. 바로크 시대의 정신 중 하나는 우리 감성에 좋은 선율을 반복적으로 들는 것이 이상적인 음악형태로 여겼.. 더보기 악기론 class – Bass (베이스) 1. 역할과 주법 우리는 어떤 건물을 보면 건물의 겉모양이 풍기는 이미지를 볼 것입니다. 그러나 아무도 그 골격을 이루고 있는 철근과 기초적인 프레임을 보진 않습니다. 이렇게 음악에서도 곡의 골격을 이루는 악기가 bass입니다. 결코 튀지 않으나 없으면 골격이 없어지는 것 같은 느낌이 들 것입니다. 화음구조(코드구조)에서 보는 Bass의 역할 베이스는 코드의 근음을 저음으로 연주하거나 자리바꿈을 연주하며 화음의 진행을 만들어 줍니다. 고음에서 선율이 진행감을 만든다면 저음에서는 화음이 움직이는 느낌을 주도록 하여 곡의 안정감을 더합니다. 선율악기의 가능성 Bass는 화음의 기틀을 만들지만 저음선율도 훌륭하게 만들어 냅니다. 때로는 중음역으로 뚫고 올라와 음악의 선율을 만들어내어 멜로디와 좋은 균형을 이루어 내기도 합니다... 더보기 음악이 조성을 벗어나면 어떻게 될까? 현대음악의 이해2 무조성 음악이 시작되며 현대음악의 문이 열렸습니다. 이 때부터 창작음악은 급격한 변화를 이루기 시작합니다. 대다수의 작곡가들은 조성음악을 탈피하여 새로운 영역을 구축하기 시작합니다. 1. 신비인학파 쇤베르크의 12음기법을 배우러 두 명의 제자가 입문합니다. 한 사람은 안톤 베베른(혹은 베번)이고, 한 명은 알반 베르그입니다. 지금은 현대음악의 문을 연 중요한 작품들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나 그 당시만 해도 조소와 냉소적인 반응으로 사람들이 인정하지 않는 음악이었습니다. 사람마다 재능이 다르고 성향이 다르다는 것은 여기에서도 입증이 됩니다. 이 세명은 똑같은 12음 기법을 가지고 각자의 개성이 뚜렷한 작품들을 구현해 냈습니다. 쇤베르크는 12음기법을 사용했으나 조성음악에 가까운 형식과 균형, 프레이즈 구축.. 더보기 음악이 조성을 벗어나면 어떻게 될까? 현대음악의 이해1 현재 우리가 듣는 대부분의 음악은 조성음악입니다. 때에따라 선법을 섞어서 쓰기도 하나 기본적인 화음의 틀은 조성을 벗어나지 않습니다. 그런데 음악이 조성을 벗어난다면 어떻게 될까요? 음악이 현대예술의 영역으로 넘어오며 무조성의 세계가 펼쳐집니다. 조성음악이 구축했던 여러가지 틀은 허물어지고 다양한 양식, 표현이 발달합니다. 그러나 조성이라는 안정적인 틀이 없어졌으므로 일반 대중, 심지어는 연주자도 감상하지 못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예술성이 높은 수작들도 있으나 대중이 외면하는 음악이 되어버린 현대음악. 왜 현대음악이 탄생하였고 아직도 학교에선 현대예술로 가르치고 있을까요? 조성음악의 한계 후기낭만시대엔 조성음악은 한계에 다다릅니다. 색다른 곡을 쓰고싶은 작곡가의 열망이컸는데 조성으론 이미 나올 만큼 작.. 더보기 이전 1 ··· 4 5 6 7 8 9 10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