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기론(Instruments) 썸네일형 리스트형 악기론 class 비올라(Viola) 비올라를 제대로 이해한다면 스트링의 절반은 이해한 것이나 다름 없습니다. 다소 생소한 악기이긴 하나 때로는 바이올린의 역할을 감당하기도 하고 때로는 첼로의 중저음 같은 소리를 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비올라는 현악 앙상블에서 그 위치를 정의내리기 어렵습니다. 밝고 화려한 바이올린과 따뜻한 이미지를 가진 첼로에 비해 비올라는 특유의 어둡고 차분한 음색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음색이 현악기 군과 어울릴 때 대단한 활약을 펼칩니다. 첼로에 이어 비올라에 대한 이야기를 이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악기의 중재자! 밸런스역할을 담당하는 비올라 가수 중에 솔로가수로는 크게 빛을 보지 못했지만 듀오나 피처링에서 크게 성공을 거둔 가수들이 있습니다. 가수 소유씨가 그런 것 같습니다. 화려하진 않지만 받쳐주.. 더보기 악기론 class 첼로(Cello) 이 강좌는 스트링편곡을 위한 기초 이론입니다. 스트링편곡을 잘 하려면 비올라와 첼로를 잘 이해해야 합니다. 바이올린이 주로 선율 영역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익숙합니다. 고음 영역보다 중저음파트를 담당하는 악기들을 공부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가장 먼저 비올라나 첼로를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올라는 일부 유저들이 생소할 수 있으므로 첼로를 먼저 살펴봅니다. 가장 풍부하고 따뜻한 음색을 가진 현악기 첼로는 현악기군에서 중저음을 담당합니다. 음역으로 보면 그렇습니다. 그런데 음역보다 중요한 사실 하나는 첼로는 중저음부에서 선율을 연주할 때가 있으며 때로는 다른 악기를 제치고 메인으로 툭 튀어나올 때도 있습니다. 첼로가 가진 멜로디성을 이해하는 것이 스트링 편곡의 핵심입니다. 첼로가 앙상블에서 하는 역할을 .. 더보기 악기론 class 현악기의 주법 일반적으로 현악기에서 가장 많이 연주하는 주법은 활로 현을 그어 소리를 내는 Arco 주법입니다. 그리고 현을 뜯는 주법인 Pizzicato 주법이 있습니다. 이 두 가지를 기본으로 자세한 연주기법을 소개합니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이 강좌는 악기학습자가 익히는 연주팁과 연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며 스트링편곡이나 작곡을 위한 것입니다. ARCO = bowing up and down 현악기의 현을 활로 가로질러 긋는 것을 보잉이라 합니다. 우리는 tv나 영상에서 현악기 연주자들이 활을 지그재그로 왔다갔다 하며 연주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활의 안쪽(프로그)에서 끝쪽으로 연주하는 내림활(down-bow), 활의 끝족에서 활의 안쪽(프로그)쪽으로 연주하는 올림활(up-bow)가 있습니다. 예전.. 더보기 악기론 class 현악기 소개 이 강좌는 스트링편곡을 위한 첫 번째 포스팅입니다. 스트링을 잘 활용하고 싶은 분들에겐 매우 유용한 글이 될 것입니다. 가끔 스트링편곡에 대한 질문을 받을 때가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선율을 드라마틱하게 뽑는 건 잘하는데 악기간의 조합이나 구조에서 부족한 경우들을 자주 보게 됩니다. 스트링 편곡을 할 때 가장 중요한 점은 악기를 이해하고 악기간의 조합과 구조를 봐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조합은 현악4중주 편성이며 바이올린1 바이올린2 비올라 첼로으로 구성됩니다. (vn1, vn2, va, vc) 오케스트라 편성은 여기에 더블베이스(=콘트라베이스)를 추가합니다. 현악4중주는 모든 클래식음악의 편성에서 가장 완벽하다고 하는 편성입니다. 4개의 악기로 꽉찬 소리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많은 작곡.. 더보기 악기론 class 피아노 배울 때 디지털피아노? 어느 어머님. 갑자기 질문을 던진다. 저기.. 제 딸이 피아노 열심히 치는데 그랜드 피아노 사면 어때요? 전공을 목표로 하나요? / 아니오, 배운지 한 달 됐어요. 따님이 몇 살이에요? / 6살이요. - 어느 어머님의 악기 구입고민 - 디지털피아노 vs 어쿠스틱 피아노 피아노를 배우려 하시는 분들이 추천해달라고 하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디지털피아노가 좋은지 업라이트가 좋은지? 초등학교 저학년이 사용하는 피아노를 추천해 달라고 하시기도 합니다. 간혹 취미를 넘어 전공을 생각하는 학생들도 간간히 물어봅니다. 피아노 비교 요즘 건반들은 제조사의 기술이 좋아져서 리얼한 피아노 터치감을 구현해내고 있습니다. 일부 모델들은 실제 피아노를 치는 것 같은 착각이 들 정도로 터치감이 좋습니다. 그런데 어쿠스틱 피아노를 .. 더보기 악기론 class - 신디사이저 사전지식 30분째 악기를 계속 고르고 있다. 어? 소리가 안좋은데? 어 이거 좋다. 이걸로 쓸까? 아니. 난 별로 인데.. 다시 찾아볼께.. (이하 무한반복) 그 누님 300만원 넘는 건반을 프리셋 키보드로 쓰시는 구나.... - 옛날 교회 반주자 누님의 신디사이저 사용기- 사전지식 이것은 무엇으로 부르나? 워크스테이션? 신디사이저? 이 용어들을 정리하기에 앞서 간략하게 신디사이저를 말씀드린다면. 신디사이저는 소리를 만들어내는 장비에서부터 출발합니다. 옛날 1960년대 현대음악연구소 등에서 출발한 이런 실험이 후에 대중음악의 중심이 될 줄을 아무도 몰랐지요. 당시 기술력을 축적한 일부회사들에 의해 대중화가 돼서 발전해 온 것이 지금의 신디사이저가 됩니다. 원래는 건반이 달려있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순수하게 소리를.. 더보기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