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악기론(Instruments)

악기론 class – Bass (베이스) 1. 역할과 주법

반응형

 

 

우리는 어떤 건물을 보면 건물의 겉모양이 풍기는 이미지를 볼 것입니다. 그러나 아무도 그 골격을 이루고 있는 철근과 기초적인 프레임을 보진 않습니다. 이렇게 음악에서도 곡의 골격을 이루는 악기가 bass입니다. 결코 튀지 않으나 없으면 골격이 없어지는 것 같은 느낌이 들 것입니다.

없어서는 안되는 악기 bas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화음구조(코드구조)에서 보는 Bass의 역할

베이스는 코드의 근음을 저음으로 연주하거나 자리바꿈을 연주하며 화음의 진행을 만들어 줍니다. 고음에서 선율이 진행감을 만든다면 저음에서는 화음이 움직이는 느낌을 주도록 하여 곡의 안정감을 더합니다.

 

선율악기의 가능성

Bass는 화음의 기틀을 만들지만 저음선율도 훌륭하게 만들어 냅니다. 때로는 중음역으로 뚫고 올라와 음악의 선율을 만들어내어 멜로디와 좋은 균형을 이루어 내기도 합니다.

 

리듬악기

저음은 그 자체로 임펙트가 강하게 걸립니다. 이점을 응용하여 베이스의 저음으로 리듬을 만들어 낼 때가 있습니다. 저음베이스를 리듬감 있게 만지는 경우 음악이 더욱 탄력적이 될 것입니다.

 

일렉트릭 베이스

대중음악에서 주력으로 쓰는 악기입니다. 굵은 현 4개로 이루어진 악기가 기본이나 최근엔 6현으로 구성된 악기들도 있어 다양한 음악적 표현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원리는 일렉기타와 비슷하나 용법이나 주법은 많이 다릅니다. 일렉트릭이라는 말이 붙은 것은 전기신호가 있어야 소리가 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일렉베이스는 플러그인 악기 답게 악기에 건전지를 넣어 전기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합니다. 전송된 소리는 앰프로 전달되어 음을 증폭시킵니다. 앰프로 보내는 과정에서 이펙터를 추가해 다양한 효과를 내는 것도 가능합니다.

 

DAW 인터페이스로 연결해 신호를 직접 보낼 수도 있어서 레코딩이 편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더블베이스(=콘트라베이스)


오케스트라나 재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베이스입니다. 저음을 내는 만큼 선이 길고 울림통도 커서 연주자들은 베이스 전용의자에 걸쳐 앉거나 서서 연주해야 하는 악기입니다. 극 저음을 내기 때문에 특유의 붕붕거리는 음량의 울림이 심하고 잘 컨트롤 하지 않는 경우엔 연주가 불분명하게 들리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런 풍부한 배음을 이용한 pizz 주법(피치카토 = 손가락으로 현을 뜯는 주법)이 매우 효과적이고 재즈의 워킹베이스를 연주할 때도 이 부분이 크게 작용합니다.

콘트라베이스는 다양한 장르에서 활약하고 있습니다.

 

 

일렉베이스의 주법

 

 

슬랩

강한 벨로시티와 명료한 액센트를 주고 싶을 때 연주하는 주법입니다. 포인트는 현의 울림 + 지판을 때리는 타악기적 요소를 합치는 것입니다. 엄지손가락으로 줄을 두드리는 섬핑3~4번 손가락으로 줄을 강하게 튕겨 지판을 때리는 플링을 조합하여 액센트를 강조합니다. 모든 음을 전부 슬랩으로 쓰기 보단 중간 중간에 일반 주법을 섞는 것이 리듬감을 더욱 살릴 수 있습니다.

 

피크베이스

DAW작업을 하신 분이라면 midi악기 항목에서 pick bass를 본적이 있을 것입니다. 말그대로 피크를 사용하여 베이스를 연주하는 주법인데 특유의 어택감과 명료한 소리, 큰 음량을 내는 특징이 있습니다. DAW에서 은근히 잘 쓰게 되는 주법이기도 합니다.

 

해머링, 풀링오프

해머링 온은 연주 후 지판을 잡은 왼손의 손가락으로 현을 지판에 두드듯 눌러 음높이를 자연스럽게 올리는 주법입니다. 풀링오프는 누르고 있는 줄을 손톱으로 긁으며 놓으며 음정을 내리는 주법입니다. 이 주법은 일반적인 음표연주에 활용하기 보단 꾸밈음 같은 부분이나, 기교적인 부분의 일부로 사용됩니다.

 

클래식 음악의 Bass는?

 

https://comproject.tistory.com/105

 

악기론class – 2. 더블베이스

콘트라베이스? 더블베이스? 베이스는 종류가 많은 것인가요? 그리고 클래식 곡 중에 독주 베이스를 위한 작품을 찾아보기 힘들까요? bass의 특징과 기본적인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

comproject.tistory.com

 

반응형